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부동산으로 수익을 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.

     

    부동산을 매수 후 일정기간 동안 보유하다가 매도를 해서 얻는 시세차익과 부동산 임대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임대 수익이 있습니다.

     

    간주 임대료에 계산이 어려우시다면 아래에서 자동계산기로 쉽게 계산해 보세요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간주임대료 이자율 계산법 계산기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간주임대료란 무엇인가?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- 부동산을 전세 또는 월세로 임대 후 얻어지는 전세금과 월세 보증금에 의해 발생되는 이율을 수익으로 간주하여 간주임대료 이자율을 곱한 뒤 계산된 금액을 임대료로 간주하여 과세하는 금액을 말합니다. 

     

    간주임대료의 요건은 아래와 같습니다. (소득세법 제25조, 소득세법 시행령 제52조)

     

    - 거주자가 주택을 대여하고 보증금,전세금 또는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금액을 받은 경우 보증금 등에 대한 간주임대료를 사업소득 총수입금액에 산입합니다.

     

    출처-국세청

     

    본인의 소득에 임대소득에 대한 세금도 산입이 되어 세금부담이 늘어나게 됩니다.

     

    전세금에 대한 보증금도 임대를 해주고 이자 없이 임차인의 돈을 빌린다는 취지라 간주임대료에 해당이 됩니다.

     

    간주임대료 발생은 3 주택 이상 소유자부터 해당이 되겠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간주임대료 과세대상

     

    과세대상의 기준은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하여야 합니다.

     

    - 부부합산 3주택 이상 소유자

    - 전, 월세 보증금 함계금액이 3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

     

    2 주택 이하 보유 중이신 분들은 해당이 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.

     

    하지만 월세를 받으신다면 종합소득세에는 합산이 될 수도 있다는 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.

     

    3 주택 이상 보유 중이신 분들이라도 소형주택은 주택수에서 제외가 됩니다. 

     

    소형주택의 기준은 40제곱미터 이하의 주택으로 기준시가 2억 원 이하인 주택입니다.

     

    간주임대료 이자율 계산법 계산기

     

    간주임대료 이자율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간주임대료 이자율은 22년 연 1.2% → 23년 2.9%로 상향되었습니다.

     

    시중은행 정기예금 이자율 수준을 반영하였다고 합니다.

     

    간주임대료 이자율 계산법 계산기

     

    간주임대료 계산법

     

    전세금 or 임대보증금 * 정기예금이자율 * 과세 대상 기간일 수 / 365일 

     

    1 주택 보증금이 3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 : (총 임대보증금 - 3억 원) * 60% * 이자율 (2.9%)

     

    출처-국세청

     

    비소형주택 3채를 임대하는 경우 아래의 간주임대료 계산 예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     

    출처-국세청

     

     

    그리고 직접 계산이 어려우시다면 홈택스 계산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계산하실 수도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간주임대료 이자율 계산법 계산기

     

    간주임대료 부가세

     

     

    간주 임대료부가세의 경우 국세청에서 고지한 보증금에서 이자율을 곱한 금액의 10%를 납부하게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간주임대료와 과세대상, 이자율, 계산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     

    임대인의 이익 부분에 대하여 세금을 부과한 것인데요.

     

    변경되는 부분을 잘 숙지하셔서 오납으로 인한 피해가 없으시기를 바랍니다.

     

    간주임대료 이자율 계산법 계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