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아직도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을 발급받지 않으셨나요? 통장 개설 후 적금만 해도 580만 원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
신청기간이 8일밖에 남지 않았습니다. 580만 원을 벌 수 있는 기회를 날리실 건가요?
서둘러 아래에서 바로 신청하시고 현금을 지급받으시기 바랍니다.
청년노동자 통장 신청 방법
- 선발 규모는 6,300명으로 제한이 되어 있습니다. 신청자가 많을 경우 혜택이 마감되니 꼭 빠른 신청 하시기 바랍니다.
- 신청기간 : 2024.05.31(금) 09:00 ~ 06.17(월) 18:00까지입니다.
- 접수일과 마감일에는 접수가 원활하지 않을 수가 있으니 서두르는 것이 좋습니다.
- 신청기간 내에는 24시간 신청이 가능합니다.
- 사람들의 접속이 많은 시간대를 피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.
- 신청 방법 : 온라인 신청 (청년 노동자 통장 홈페이지)
유의 사항
- 최초 로그인 시 30분 후 자동 로그아웃이 되고, 연장 클릭 후 지속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.
- 접수마감은 6.17일 18:00까지이고, 18:00 이후에는 서류 제출/수정이 절대 불가합니다.
- 반드시 17:59분까지 '제출하기'를 클릭하셔서 신청 후 '신청현황' 탭에서 현재 상태가 '신청완료'가 되어 있는지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오류 등으로 인하여 미접수시에는 처리가 불가합니다.
- 접수 기간 동안에는 언제든지 첨부파일의 수정이 가능하고, 수정 후에는 반드시 파란색 '제출'버튼을 클릭하여 제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.
- 경기도 청년노동자 지원사업 '청년복지포인트' 사업과 중복 참여는 되지 않습니다. 선정 후 중복 참여 제한 사업의 치력이 확인이 되면 선정 무표 및 지원금이 환수조치가 되니 반드시 확인 후 신청 하시기 바랍니다.
위의 사항을 반드시 재 확인을 하셔야 580만 원의 지원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 인원마감이 촉박하니 아래에서 바로 신청해 보세요.
신청제외(자격제한) 대상자
24.05.24일 공고일 기준으로 참여 중이거나 참여 가능한 자, 지원금 수혜자, 중도해지자는 신청을 하실 수가 없으니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- 자산형성지원사업(희망키움통장Ⅰ·Ⅱ, 희망저축계좌Ⅰ·Ⅱ, 청년희망키움통장, 내일키움통장, 청년저축계좌)에 참여 중이거나 참여 가능한 자
- 기초생활수급자(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) 및 법정차상위 보장가구 신청불가
- '디딤씨앗통장' 참여가구는 가능
- 청년내일채움공제('22년 이전 신규가입),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,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, 청년내일저축계좌, 미래행복통장에 참여 중이거나 참여하여 지원금을 수령한 수혜자
- 해지자 중 실제 지원금을 지급받지 않은 경우 신청 가능
- 국가 및 타 지자체의 자산형성지원사업(서울시 희망 두 배청년통장 등)에 참여 중이거나 참여하여 지원금을 수령한 수혜자
- 해지자 중 실제 지원금을 지급받지 않은 경우 신청 가능
-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(舊일하는 청년통장 포함)에 참여 중이거나 참여하여 지원금을 수령한 수혜자 또는 중도해지한 자
- 해지자 중 “병역의무 이행”으로 실제 지원금을 지급받지 않은 경우 신청 가능
- 경기도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(청년연금, 중소기업 청년노동자지원사업(舊청년 마이스터통장), 청년복지포인트)에 참여 중이거나 중도해지 후 1년이 경과하지 않은 자
- 경기도 장애인누림통장, 자립 두 배통장에 참여 중이거나 참여하여 지원금을 수령한 수혜자
- 해지자 중 실제 지원금을 지급받지 않은 경우 신청 가능
-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 상 공무원(국가·지자체소속 무기계약 근로자 포함), 국가·지자체의 공공기관 임직원(무기계약 근로자 포함, 기간제 근로자 제외)
-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(http://www.alio.go.kr), 지방공공기관통합공시(http://www.cleaneye.go.kr) 참조
- 병역의무 이행 중인 자
- 제외업종 근로자 : 불법 향락업체·불법 도박·불법 사행업 종사자
- 기타 행정기관에서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자
지원자격 및 조건
연령, 거주여부, 대상, 소득(건강보험료) 확인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자격 확인이 가능합니다. 아래에서 자세하게 확인해 보세요.
가산점 부여 대상